![[모던 프론트엔드 구성 ] 0. 모노레포의 개념과 구현 방법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](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75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a%2FX65oy%2FbtrDGb4lt8t%2FAAAAAAAAAAAAAAAAAAAAAJOxsb5veCPCfBuh5lTD-etUzrzbiy97ksmyV29lajEu%2Fimg.webp%3Fcredential%3DyqXZFxpELC7KVnFOS48ylbz2pIh7yKj8%26expires%3D1753973999%26allow_ip%3D%26allow_referer%3D%26signature%3DsMtSFGShgyg1wTbSRloRQDHL86M%253D)
웹/일반
[모던 프론트엔드 구성 ] 0. 모노레포의 개념과 구현 방법
TLDR; 🦄모노레포 구조란, 하나의 저장소에 여러개의 서브 프로젝트가 존재하는 환경으로, 관심사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이다. 🦄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 모노레포를 설명하기 앞서,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명을 잠시 하겠습니다. 모노리스 (Monolith) 라고도 부르는 이 아키텍쳐는 이름처럼 크고 거대한 하나의 대규모 구조로,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되는 모든 코드가 들어가있습니다. 거대한 아키텍처는 그 자체로 강건한 아키텍처를 빠르게 구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으나, 아이러닉하게도 프로젝트의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생산성이 떨어지게 됩니다. 모놀리식 애플리케이션의 한계는 다음 3가지로 줄일 수 있습니다. 1. 사소한 수정에도 기나긴 빌드, 배포 시간을 가지게 된다. - 내부 컴포..